본문 바로가기
경제주식

주식 시황 및 뉴스 - 2022.10.07

by 달콩용 2022. 10. 7.
반응형

Global Issues

미증시 하락... 채권금리. 고용지표 주시

  • 美주간 신규실업보험청구 21만 9천 명... 8월 이후 최다
  • 美 9월 감원, 전월비 46% 상승... 고용 계획, 2011년 이후 최저
  • IMF 총재 "경기침체 위험 상승... 내년 경제성장률 하향될 것"
  • "머스트, 트위터 인수 가격 30% 인하 요구했다 거절당해"
  • 英 국채수익률 급등... BOE 장기채 매입 지속 여부 불투명
  • 9월 ECB의사록 "일부 위원들 초기엔 0.5% p 금리 인상 선호"
  • CE "ECB, 올해 말까지 예금금리 2.5%로 올릴 것"
  • 유로존 8월 소매판매, 전월비 0.3% 감소... 감소세 지속"

Domestic Issues

다시 살아난 美긴축 공포… 코스피·코스닥 하락

  • 카카오그룹 동반 약세…장 초반 줄줄이 52주 신저가
  • '또 52주 신저가' 카카오페이…힘 못쓰는 카카오그룹주
  • 삼성전자 3분기 영업익 31.7% 급감한 10조 8천억 원… 반도체 한파
  • 빗썸, 국제표준 개인정보보호 관리체계 인증 취득
  • 美 "마리화나 정책 재검토"…국내 관련주도 강세
  • 모델 설루션, 코스닥 상장 첫날 강세… 공모가 대비 22%↑
  • 한진, 3분기 영업익 228억…전년比 31.5% 감소
  • 유비온, 코스닥 이전상장 위한 증권신고서 제출
  • "BTS 불확실성 커졌다"…하이브 목표주가 잇달아 '뚝'
  • "비트코인, 현재 '아무도 사지 않는 구간' 도달… 매수 결단할 수 있어야"


주요 뉴스

  1. 美고용지표 대기, 달러강세…환율, 1400원대 상승 예상
    글로벌 달러인덱스 112선 상승, 달러화 강세美 비농업 신규고용 대기, 위험회피 심리도 중국 위안화 달라달 7.08위안대로 약세 전환

  2. '매파적 연준' 변동성 확대… 삼성전자 '눈치보기 장세'
    미국 연준위원들 긴축 발언 잇따르며 뉴욕 증시 하락 오늘 밤 美 고용지표+삼성전자 실적이 증시 변수

  3. 美증시, 고용 부진 속 연준 매파 발언에 일제 하락 [뉴욕 마감]
    이날 발표된 주간 실업보험 청구건수는 지난 8월 말 이후 가장 많은 수준을 기록했다. 미국 노동부에 따르면 지난 1일로 끝난 한 주간 신규 실업보험 청구건수는 계절 조정 기준 전주 대비 2만 9000명 증가한 21만 9000명으로 집계됐다. 주간 신규 실업보험 청구건수는 전문가 예상치인 20만 3000명을 웃돌아 8월 말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뉴욕증시는 실업 지표 부진 속 연방준비제도(Fed, 연준) 위원들의 발언에 하락 마감했다.
  4. 뉴욕증시, 고용보고서 앞두고 하락
    미국 뉴욕증시 주요지수는 현지시간 6일 미 고용보고서 발표를 하루 앞두고 하락했습니다.
    뉴욕 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346.93포인트(1.15%) 내린 29,926.94로 거래를 마쳤습니다.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 500 지수는 38.76포인트(1.02%) 하락한 3,744.52를 기록했습니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75.33포인트(0.68%) 밀린 11,073.31로 장을 마무리했습니다. 7일 발표 예정인 미국의 비농업 고용자 수와 실업률 지표를 앞두고 실업자 수가 늘고 있으나 미국 중앙은행(Fed)은 긴축의 고삐를 늦추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며 투자심리가 약화됐습니다.

  5. 국제유가, OPEC+ 대규모 감산에 4일 연속 상승
    국제 유가는 석유수출국기구(OPEC)와 비(非) OPEC 주요 산유국의 협의체인 ‘OPEC 플러스(OPEC+)’의 대규모 감산 여파로 나흘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습니다. 뉴욕 상업거래소에서 11월 물 서부텍사스산 원유(WTI) 가격은 전날보다 69센트(0.79%) 상승한 배럴당 88.45달러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팩트셋 집계 기준 이날 유가는 9월 14일 이후 최고치로 마감했습니다. 앞서 OPEC+ 산유국들은 지난 5일 열린 장관급 회의에서 11월부터 산유량을 하루 200만 배럴 줄이기로 합의했습니다. 감산 규모는 2020년 이후 최대입니다.

 


일별 시세

날짜 체결가 전일비 등락률 거래량(천주) 거래대금(백만)
2022.10.07 2,232.84  5.02 -0.22% 402,261 6,962,735
2022.10.06 2,237.86 22.64 +1.02% 643,015 6,850,065
2022.10.05 2,215.22 5.84 +0.26% 847,917 9,342,729
2022.10.04 2,209.38 53.89 +2.50% 412,585 7,371,334
2022.09.30 2,155.49 15.44 -0.71% 932,642 7,785,154
2022.09.29 2,170.93 1.64 +0.08% 499,195 7,114,880
2022.09.28 2,169.29 54.57 -2.45% 596,136 9,208,349
2022.09.27 2,223.86 2.92 +0.13% 487,939 8,005,556
2022.09.26 2,220.94 69.06 -3.02% 621,995 9,461,817



투자 정보

출처 : 네이버 증권 정보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