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lobal Issues
미증시 조기 폐장 속 다우 홀로 상승
- 美, 블프 전자상거래 매출 91.2억 달러... 사상 최대
- FTC, MS의 액티비전 인수에 반독점 소송 제기 가능성
- 中 상하이, 베이징, 우한 등서 코로나 봉쇄 반대 시위
- 타이완 지방선거서 야당 승리... 차이잉원 총통, 당 주석직 사임
- 美, 셰브론의 베네수엘라 원유 생산 승인
- 골드만 "헤지펀드 최선호 종목은 美 빅테크"
- 조지 소로스, 최근 3개월간 알파벳 95만 주 매수
- 무디스 "美 10월 가계 소비지출, 전년비 433달러 증가"
- 美, 4분기 기업 실적 둔화 전망 증가
- 머스크 "애플, 구글서 트위터 없애면, 스마트폰 생산"
- 웨드부시 "애플, 中생산차질로 일주일마다 10억 달러 손실"
- 中 1~10월 공업 이익 3% 하락... 제조업 수익성 넉 달 연속 악화
Domestic Issues
中리스크에 코스피 1%·코스닥 2%↓…삼전 장중 '5 만전자'로
- 코리안리, 주당 0.2주 무상증자 결정
- 중국발 위험회피에 환율 급등…16.5원 오른 1,340.2원 마감
- 엔켐, 美 4개 주에 전해액 공장 추가 증설 추진
- SK바이오팜, 207억 규모 의약품 공급계약
- 덱스터, 글앤그림미디어와 62억 규모 공급계약
- 팸텍, 3분기 누적 영업익 137억… 전년比 107% 증가
- 영풍-고려아연 지분경쟁 펼쳐지나… 영풍정밀 급등
- 한국테크놀로지, 사업 다각화 소식에 강세
- 정부, '우주 로드맵' 발표 앞두고 우주·항공주 '들썩'
- '재벌집 막내아들' 시청률↑…관련주는 차익실현에 '하락'
- 광무, 109억 규모 리튬염 공급계약 소식에 주가 '급등'
- 위믹스 상장폐지 후폭풍… 위메이드 또 '급락'
- 삼성엔지니어링, 베트남 DNPW 지분 547억에 취득
마감시황
코스피, 2400선 간신히 지켜…中 시위에 1.2% 하락
국내 증시는 중국에서 코로나19 방역 규제에 항의하는 시위가 커질 것이라는 우려가 유입되며 하방 압박을 받았다. 로이터 등 주요 외신에 따르면 지난 24일(현지시간)부터 신장 우루무치를 시작으로 수도 베이징, 상하이, 난징, 우한, 후베이성, 광저우 등에서 시위가 이어졌다. 또한, 지난 25일 미증시는 조기 폐장하며 혼조세로 약보합 마감을 한가운데 사상 최대의 전자상거래 매출을 보였으나, 전문가들의 4분기 기업 실적 둔화 전망이 증가함에 따라 블랙프라이데이가 연말 소비심리를 크게 자극할 정도의 영향력은 없는 것으로 보인다. 기관·외인 동반 매도세에 코스피는 간신히 2400선에 마감했다.
코스피는 전 거래일(2437.86)보다 29.59포인트(1.21%) 내린 2408.27에 장을 마쳤다. 개인은 3551억을 순매수하고 기관은 2671억 원, 외국인은 1242억 원을 팔아치웠다.
네이버(-2.43%) SK하이닉스(-2.35%) 삼성바이오로직스(-1.99%) LG에너지솔루션(-1.58%) 삼성전자(-1.48%) 등 순으로 낙폭이 컸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전 거래일 미국 주요 반도체주가 하락 마감한 영향으로 약세를 나타냈다. 삼성전자는 장중 한때 '5만전자'로 내려앉기도 했다. 반면 현대차(0.9%) 삼성SDI(0.28%) 등은 상승했다.
코스닥 지수도 전 거래일보다 15.66포인트(2.13%) 하락한 717.9로 장을 닫았다. 개인은 홀로 2076억 원어치를 사들였으나 기관과 외국인은 각각 1264억 원, 757억 원을 매도했다.
HLB(-6.21%) 카카오게임즈(-3.5%) 에코프로비엠(-3.44%) 펄어비스(-2.95%) 셀트리온제약(-2.86%) 천보(-1.88%) 등 시총 상위 10개 종목 모두 하락했다. 위메이드는 가상자산 '위믹스' 상장폐지 후폭풍으로 이날 13.71% 떨어졌으며, 자회사인 위메이드맥스도 10.38% 하락 마감했다. 업종별로는 통신서비스(-3.89%) 디지털콘텐츠(-3.79%) IT S/W&서비스(-2.86%) 등이 하락세를 보였다.
달러·원 환율은 전 거래일보다 16.5원(1.25%) 오른 1340.2원에 거래를 마쳤다. 환율은 종가 기준으로 지난 24일 1350원선 아래로 내려온 뒤 25일 1323원선까지 떨어졌으나 이날 단숨에 1340원선을 돌파했다. 중국 코로나19 불안과 지급준비율 인하 정책 발표에 위안화가 약세 압력을 받자 원화도 약세를 보인 것으로 분석된다.
투자정보
- "'속도조절론 충격' 속 최종 금리 수준 간과"... 달러화, 사흘 만에 반등
- 유럽연합, 러시아산 원유 가격 상한제 협의 난항... 28일로 연기
- 셰브론, 베네수엘라 석유 생산 재개... 일단 '6개월 승인권' 획득
- 바이낸스, '암호화폐 대출업체' 보이저 디지털 인수 추진 중
- [천연가스] 일일 기준, 7% 가까이 하락· 주간 기준, 2주 간 11% 상승
- [금] 달러화 강세 불구 강보합 유지
- [팔라듐] 달러화 강세 영향 급락
2022년 48주 차: 미국 경제 일정
'경제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 마감시황 및 뉴스 - 2022.11.30 (0) | 2022.11.30 |
---|---|
주식 마감시황 및 뉴스 - 2022.11.29 (0) | 2022.11.29 |
주식 마감시황 및 뉴스 - 2022.11.25 (0) | 2022.11.26 |
주식 마감시황 및 뉴스 - 2022.11.24 (2) | 2022.11.24 |
주식 마감시황 및 뉴스 - 2022.11.23 (0) | 2022.11.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