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lobal Issues
미증시 상승... FOMC/연준/의사록/테슬라/파월
- 美증시, 11월 FOMC 의사록 공개 후 상승 전환
- FOMC 의사록 '위원 다수, 금리인상 속도 조절 적절 판단'
- FOMC 의사록 '기준금리 최종 수준은 과거 전망보다 높을 수도'
- 美 10월 신규주택판매, 전월비 7.5% 상승... 예상 밖 깜짝 증가
- 美 실업수당 청구, 3개월 래 최대... 노동시장 냉각 조짐 우려
- 11월 미시간대 소비자심리지수, 4개월 래 최저... 1년 기대인플레 하락
- HP, PC 시장 부진으로 향후 3년 간 직원 최대 6천 명 감축
- 주가 부진 테슬라... 주주들, 트위터로 머스크에 자사주 매입 요구
- 美 신규 실업보험 청구 24만 명... 3개월 래 최고
- 美 11월 S&P 글로벌 제조업 PMI 47.6... 30개월래 최저
Domestic Issues
한은, 기준금리 0.25% p 인상…5%대 물가 고려
- 금리인상 속도조절 기대감에…'빅테크' 카카오·네이버 강세
- 고려아연, LG화학·한화와 맞손… 주가는 되레 4.8% 하락
- 한은, 내년 성장률 연 1.7% 하향조정… 취업시장도 한파 닥친다
- 씨에스윈드, 노덱스에너지와 258억 공급계약
- 삼성엔지니어링, 삼성전자서 5500억 규모 공사 수주
- 에이프로, 얼티엄셀즈와 1010억 2차 전지 활성화 장비 공급계약
- 일회용품 사용 제한 확대에 제지 관련주 강세
- 드라마'재벌집 막내아들' 첫 스트리밍 이후 5일 만에 기준 미국, 캐나다, 브라질 등 50여 개 국가에서 1위
마감시황
美 금리인상 완화·中 돈 풀기 기대… 코스피 2440선 마감
오늘 주식 시장은 훈풍이 돌았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금리인상 속도 조절 기대감에 이날 열린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기준금리를 기존 3.0%에서 3.25%로 0.25% p 인상한데 영향으로 해석된다.
코스피지수는 전일보다 23.32포인트(0.96%) 뛴 2441.33에 거래를 마쳤다. 이날 전장보다 19.5포인트(0.81%) 오른 2437.51에 출발한 지수는 장중 오름폭을 높여갔다. 수급을 살펴보면 개인 홀로 2178억 원 순매도했고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1260억 원, 663억 원어치 순매수했다.
코스피 시가총액 상위 10개 종목은 기아(-0.60%)를 제외하고 일제히 상승했다. 대장주 삼성전자가 0.66% 오른 가운데, LG에너지솔루션(+1.25%), 삼성바이오로직스(+0.90%), SK하이닉스(+2.00%), LG화학(+3.85%), 삼성SDI(+2.71%), 삼성전자우(+0.54%), 현대차(+0.90%), NAVER(+3.58%) 등이 올랐다.
코스닥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12.63포인트(1.74%) 오른 738.22에 거래를 마쳤다. 외국인이 1158억 원, 기관이 988억 원 순매수했다. 반면 개인은 2020억 원 순매도했다.
시가총액 상위종목들은 대부분 상승했다. 에코프로비엠(+3.32%), 셀트리온헬스케어(+1.54%), 엘앤에프(+3.55%), HLB(+0.27%), 카카오게임즈(+2.77%), 에코프로(+2.50%), 펄어비스(+2.05%), 리노공업(+1.76%), 셀트리온제약(+2.11%), 천보(+3.86%) 등이 올랐다.
업종별로는 오락문화가 3.4% 뛰었다. IT부품과 일반 전기전자, 종이와 목재, 디지털 콘텐츠 등도 2%대 상승했다. 비금속, 화학, 기계와 장비도 1%대 올랐다. 반면 기타 제조는 2.97% 하락했다. 종이목재 업종이 강세를 보인 것은 이날부터 편의점에서 비닐봉지와 플라스틱 빨대 등 일회용품 사용 제한에 제지 업종이 반사 수혜주로 부각된 영향이다.
미국의 OTT 기업 라쿠텐 비키(Rakuten Viki)는 '재벌집 막내아들'이 첫 스트리밍 이후 5일 만에 기준 미국, 캐나다, 브라질 등 50여 개 국가에서 1위를 차지했다고 밝혔다.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 대비 23.6원 내린 1,328.2원에 마감했다.
투자정보
- 美 11월 FOMC 의사록, 속도조절 시사... 달러화 하락, 금 상승
- EU·G7 "러시아산 원유 가격 상한선, 60달러로 제시"
- 美 동부, '북극 기단' 상륙 후 기온 급감 예상... 천연가스 급등
- 美 농무부 "최대 커피 생산국 '브라질, 콜롬비아', 내년 생산량 하향 조정"
- 美 뉴욕주, 환경 보호 이유로 2년 간 암호화폐 채굴 제한
- 美 동부, '북극 기단' 상륙 후 기온 급감 예상
- [금, 은] 美 연준 긴축 행보 완화, 안전 선호 심리 영향
- [구리] 달러화 약세 영향 속 2 거래일째 상승
'경제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 마감시황 및 뉴스 - 2022.11.28 (0) | 2022.11.28 |
---|---|
주식 마감시황 및 뉴스 - 2022.11.25 (0) | 2022.11.26 |
주식 마감시황 및 뉴스 - 2022.11.23 (0) | 2022.11.23 |
주식 마감시황 및 뉴스 - 2022.11.22 (0) | 2022.11.22 |
주식 마감시황 및 뉴스 - 2022.11.21 (0) | 2022.11.21 |
댓글